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좀과 습진의 차이

by 말랑말랑해. 2025. 7. 4.
반응형

발에 가려움이나 각질이 생기면 대부분 무좀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습진일 수도 있습니다. 두 질환은 증상이 유사해 혼동하기 쉬우며, 잘못된 자가 치료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무좀과 습진의 차이를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 측면에서 비교해보겠습니다.

 

1. 원인의 차이

  • 무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피부질환입니다. 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번식하며, 전염성이 강합니다.
  • 습진: 알레르기, 자극, 스트레스, 체질적 요인 등으로 발생하는 비감염성 염증성 피부질환입니다. 전염되지 않으며,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분 FAQ] 무좀과 습진은 어떻게 다른가요? - 닥터나우

 

[1분 FAQ] 무좀과 습진은 어떻게 다른가요?

무좀과 습진, 한포진의 증상 차이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doctornow.co.kr

 

2. 증상의 차이

구분 무좀 습진
주요 증상 하얀 각질, 갈라짐, 수포, 악취 붉은 발진, 진물, 심한 가려움
발생 부위 발가락 사이, 발바닥, 발톱 발등, 발목, 손, 얼굴 등 전신 가능
피부 경계 뚜렷하고 원형 형태 경계가 불분명하고 넓게 퍼짐
전염성 있음 없음

무좀은 특히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발가락 사이에 잘 생기며, 피부가 짓무르고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습진은 진물과 함께 피부가 붉게 부어오르고, 긁으면 증상이 악화됩니다.

 

3. 진단 방법

두 질환은 육안으로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KOH 검사(곰팡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좀은 진균이 검출되며, 습진은 감염 소견이 없습니다.

 

4. 치료법의 차이

  • 무좀 치료: 항진균제(연고, 스프레이, 경구약)를 사용하며,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2~4주간 추가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 위험이 높습니다.
  • 습진 치료: 스테로이드 연고, 항염증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사용하며, 보습과 자극 회피가 중요합니다.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므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5. 잘못된 자가 치료의 위험

무좀을 습진으로 오인해 스테로이드 연고만 사용할 경우, 곰팡이균이 더 번식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습진을 무좀으로 착각해 항진균제만 사용할 경우 염증이 억제되지 않아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무좀과 습진은 증상이 비슷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전혀 다릅니다. 자가 진단보다는 피부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증상이 반복되거나 넓게 퍼질 경우,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진료를 받는 것이 피부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