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산관리 설비가동율 종합효율 산출

by 말랑말랑해. 2025. 3. 17.
반응형

설비가동율과 종합효율은 생산관리에서 중요한 지표로, 설비의 활용도와 생산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계산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에서는 설비가동율과 종합효율의 정의, 계산 방법,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팁을 소개합니다.

 

설비가동율이란?

설비가동율은 설비가 실제로 가동된 시간을 기준으로 설비의 활용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설비가동율 (%) = (가동시간 / 총 가용시간) × 100

예를 들어, 하루 24시간 중 16시간 동안 설비가 가동되었다면, 설비가동율은 66.7%가 됩니다.

 

설비종합효율, 6대 로스

 

설비종합효율, 6대 로스

109회-3교시-5번, 133회-2교시-6번 | 공장관리기술사 범위 설비종합효율은 시간가동률, 성능가동률, 양품율의 곱으로 산출한다. 이 3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산출하는 과정을 설비 6대 로스(loss)와 연

brunch.co.kr

 

종합효율(OEE)이란?

종합효율(OEE,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은 설비의 시간적, 성능적, 품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곱하여 계산됩니다:

  1. 시간가동율: 설비가 실제로 가동된 시간의 비율.
  2. 성능가동율: 설비가 이론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능 대비 실제 성능의 비율.
  3. 양품율: 생산된 제품 중 양품의 비율.

OEE = 시간가동율 × 성능가동율 × 양품율

 

계산 예제

  • 시간가동율: 하루 8시간 중 7시간 가동 → (7/8) × 100 = 87.5%
  • 성능가동율: 이론 생산량 100개 중 실제 생산량 90개 → (90/100) × 100 = 90%
  • 양품율: 생산된 90개 중 양품 85개 → (85/90) × 100 = 94.4%

OEE = 87.5% × 90% × 94.4% = 약 74.2%

 

설비가동율 및 종합효율 개선 방법

  1. 정기적인 설비 점검: 설비의 고장을 예방하고 가동시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2. 작업 프로세스 최적화: 병목 현상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3. 교육 및 훈련: 작업자의 숙련도를 높여 설비의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분석 활용: 설비의 가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합니다.

 

설비가동율과 종합효율은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