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엔진룸 청소 방법

by 말랑말랑해. 2025. 9. 5.
반응형

자동차 엔진룸은 차량의 심장부이자 각종 전기·기계 장치가 밀집된 공간입니다. 하지만 보닛을 열어보면 먼지, 기름때, 낙엽, 벌레 사체 등 다양한 오염물이 쌓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엔진룸 청소를 소홀히 하면 냄새, 부식, 부품 수명 단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셀프 엔진룸 청소를 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

 

1. 청소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

엔진룸은 전기 배선과 전자 장치가 많아, 잘못 청소하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엔진이 완전히 식었는지 확인: 뜨거운 상태에서 청소하면 화상 위험과 부품 손상이 있습니다.
  • 배터리 단자 분리: 전기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마이너스(-) 단자를 먼저 분리합니다.
  • 민감 부위 보호: 발전기, ECU, 퓨즈박스, 흡기구 등은 비닐이나 랩으로 감싸 물이 직접 닿지 않게 합니다.

 

2. 준비물

  • 부드러운 브러시와 세차용 솔
  • 중성 세정제(엔진룸 전용 또는 다목적 세정제)
  • 마른 극세사 타월
  • 물 분사기(고압세척기보다는 저압 분사 권장)
  • 보호 장갑과 보안경

 

3. 큰 먼지와 이물질 제거

먼저 엔진룸 내부의 낙엽, 먼지, 모래 등을 제거합니다.

  • 브러시나 에어건을 사용해 틈새 먼지를 털어냅니다.
  • 손이 닿지 않는 깊은 곳은 긴 브러시나 진공청소기 호스를 활용합니다.

 

4. 세정제 도포와 세척

  • 오염이 심한 부위에 세정제를 골고루 분사합니다.
  • 브러시로 부드럽게 문질러 기름때와 찌든 때를 제거합니다.
  • 전기 장치 주변은 세정제를 직접 분사하지 말고, 타월에 묻혀 닦아줍니다.

 

5. 물로 헹굼

  • 저압 분사기를 사용해 세정제를 깨끗하게 헹궈냅니다.
  • 물이 전기 장치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고압세척기는 부품 손상과 전기계통 침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6. 건조

  • 마른 극세사 타월로 물기를 닦아냅니다.
  • 가능하다면 보닛을 열어둔 상태에서 자연 건조하거나, 송풍기를 사용해 틈새까지 건조합니다.
  • 배터리 단자를 다시 연결하기 전에 완전히 건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7. 마무리 관리

  • 엔진룸 전용 코팅제를 사용하면 먼지 부착을 줄이고 광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청소 후에는 배터리 전압, 오일 누유, 벨트 상태 등을 함께 점검하면 좋습니다.

 

엔진룸 세차 청소 해보신분 계신가요?? : 클리앙

 

엔진룸 세차 청소 해보신분 계신가요?? : 클리앙

엔진룸은 건들었다가 뭐 잘못될까봐 ㅋㅋ 무서워서 한번도 엔진룸 세차를 한적이 없습니다 제가 셀프로 하기에는 솔직히 좀 무섭고 ㅎㄷㄷ 업체에서 엔진룸만 세차해주는거 대략 3만원 정도 하

www.clien.net

 

8. 청소 주기

  • 일반적으로 6개월~1년에 한 번 정도 청소를 권장합니다.
  • 비포장도로 주행이 잦거나, 엔진룸에 기름때가 자주 생기는 차량은 더 짧은 주기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룸 청소는 단순히 외관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차량의 성능과 수명을 지키는 중요한 관리 방법입니다. 전문가의 팁을 참고해 안전하게 셀프 청소를 진행하면, 불필요한 수리비를 줄이고 차량을 오래도록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