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반드시 챙겨야 할 것이 바로 ‘정기검사’입니다. 차량의 안전성과 환경 기준을 점검하기 위한 법적 의무 절차로, 이를 놓치면 과태료는 물론 차량 운행에도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자동차 정기검사 비용과 유효기간을 차종별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자동차 정기검사란?
자동차 정기검사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행 가능한지, 배출가스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모든 차량은 일정 주기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며, 검사 유효기간을 넘기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자동차 검사 과태료 관련 제가 진상인지좀 봐주세요 ㅡㅡ;; : 클리앙
자동차 검사 과태료 관련 제가 진상인지좀 봐주세요 ㅡㅡ;; : 클리앙
작년에 중고차하나 사서 타다가 팔았는데요 최근에 난대없이 과태료 고지서가 날라오더라구요. 30만냥짜리가.. 내용을 보니 자동차검사를 안받았고 자동차검사를 받아야하는 날로부터 200일이
www.clien.net
차종별 정기검사 유효기간
차량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검사 주기가 다릅니다. 아래는 주요 차종별 검사 주기입니다:
차량 종류 | 최초 검사 시기 | 이후 검사 주기 |
---|---|---|
비영업용 승용차 | 등록 후 4년 | 2년마다 |
영업용 승용차 | 등록 후 2년 | 1년마다 |
비영업용 승합차 (9인승 이상) | 등록 후 3년 | 1년마다 |
영업용 승합차 | 등록 후 1년 | 6개월마다 |
비영업용 화물차 (3.5톤 미만) | 등록 후 4년 | 2년마다 |
비영업용 화물차 (3.5톤 이상) | 등록 후 3년 | 1년마다 |
영업용 화물차 | 등록 후 2년 | 1년마다 |
특수차량 (견인차, 크레인 등) | 등록 후 3년 | 1년마다 |
이륜차 (260cc 이상) | 등록 후 3년 | 2년마다 |
※ 검사 유효기간은 차량 등록증 또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버검사소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비용
정기검사 비용은 차종과 검사소에 따라 다르며,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차종 | 정기검사 비용 (원) |
---|---|
경형 승용차 | 17,000 |
소형 승용차 | 23,000 |
중형 승용차 | 26,500 |
대형 승용차 | 29,000 |
11인승 이하 승합차 | 35,000 |
12인승 이상 승합차 | 38,500 |
소형 화물차 (2.5톤 이하) | 40,000 |
중형 화물차 (3.5톤 이하) | 50,000 |
대형 화물차 (3.5톤 초과) | 60,000 |
이륜차 (260cc 이상) | 15,000~30,000 (검사소별 상이) |
※ 민간 검사소와 공단 검사소의 비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검사 예약 및 과태료 안내
- 검사 예약: 온라인(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 또는 전화(1577-0990)로 가능
- 검사 가능 기간: 유효기간 만료일 기준 31일 전부터 검사 가능
- 과태료: 검사 지연 시 최대 30만 원까지 부과
지연 기간 | 과태료 |
---|---|
30일 이하 | 40,000원 |
31~60일 | 60,000원 |
61~90일 | 80,000원 |
91일 이상 | 100,000원 + 매 3일마다 10,000원 추가 (최대 300,000원) |
검사 전 준비사항
- 자동차등록증
- 보험가입증명서
- 검사 수수료
- 온라인 예약 내역 (예약 시)
자동차 정기검사는 단순한 점검이 아닌 법적 의무입니다. 검사 유효기간을 정확히 확인하고, 차종에 맞는 검사 주기를 지켜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비용은 차종과 검사소에 따라 다르므로 사전 비교가 중요하며, 온라인 예약을 통해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정기검사를 제때 받는 습관이 차량 안전과 비용 절감의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