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단의 뿔을 붙들라 출애굽기 38장

by 말랑말랑해. 2025. 4. 10.
반응형

출애굽기 38장 1절부터 7절은 번제단의 제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며, 이 번제단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는 중요한 장소로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번제단의 네 모퉁이에 달린 뿔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깊은 영적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이 뿔은 하나님의 권능과 구원의 상징으로,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제단의 뿔의 상징적 의미

번제단의 뿔은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의 자비와 구원을 상징합니다. 속죄제와 속건제에서 제사장은 제물의 피를 이 뿔에 바름으로써 죄를 속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의식을 행했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을 예표하며, 그분의 피로 우리의 죄가 용서받는 과정을 상징합니다.

또한, 제단의 뿔은 피난처로서의 역할도 했습니다. 구약 시대에 죄를 지은 자가 제단의 뿔을 붙들면 생명을 보존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를 상징하며, 진정한 회개와 믿음을 통해 구원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번제단의 뿔 - 출27:1-8

 

번제단의 뿔 - 출27:1-8

번제단의 뿔 출27:1-8 지난 시간에는 법궤와 속죄소에 대해서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당시에 하나님께서 모세를 만나 주시는 장소가 지성소 안에 있는속죄소 앞이었습니다. 그런데 그곳에 들어 갈

lastingforever.tistory.com

 

오늘날의 적용

오늘날 우리는 제단의 뿔을 붙드는 행위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단순히 외형적인 행위가 아니라, 진심으로 회개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이는 믿음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제단의 뿔은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의 구원과 자비를 상징하며, 그분의 은혜를 붙들고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제단의 뿔을 붙들라"는 단순한 명령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과 자비를 붙들라는 깊은 영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출애굽기 38장의 번제단과 그 뿔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상징하며, 우리의 죄를 속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길을 보여줍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더욱 깊이 깨닫고, 그분의 구원을 붙드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