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사 축문 각 문장의 한자 뜻

by 말랑말랑해. 2025. 3. 16.
반응형

제사 축문은 조상에게 예를 갖추어 올리는 글로, 한자 문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축문에 사용되는 한자들은 각각 깊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제사의 의미를 더욱 잘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제사 축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주요 문구와 그 뜻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유세차(維歲次)

  • : "해의 차례가 이어진다"는 의미로, 제사를 지내는 해를 나타냅니다.
  • 설명: 제사 축문에서 연도를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제사(祭祀)와 축문(祝文)

 

제사(祭祀)와 축문(祝文)

1.축문 개괄 축문이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祖上에게 제사의 緣由와 정성스러운 감회를 표하며 간략하나마 마련한 제수를 권하는 글이다. 살아계신 어른에게 색다른 음식을 올릴

koahn.tistory.com

 

2. 태세(太歲)

  • : "제사 지내는 해의 간지(干支)"를 의미합니다.
  • 설명: 육십갑자에 따라 해당 연도를 나타냅니다.

 

3. 삭일(朔日)

  • : "초하루"를 의미하며, 제사 드리는 달의 첫날을 나타냅니다.
  • 설명: 음력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4. 일진(日辰)

  • : "제사 날의 간지"를 나타냅니다.
  • 설명: 제사 날짜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5. 감소고우(敢昭告于)

  • : "감히 ~께 고하옵니다"라는 의미입니다.
  • 설명: 조상에게 예를 갖추어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축문의 서두에 자주 사용됩니다.

 

6. 상향(尙饗)

  • : "흠향하옵소서"라는 의미로, 제물을 받아주시길 바라는 뜻입니다.
  • 설명: 제사의 목적을 나타내는 중요한 문구입니다.

 

7. 호천망극(昊天罔極)

  • : "하늘과 같이 부모님의 은혜가 넓고 크다"는 의미입니다.
  • 설명: 부모님 기제사에서 자주 사용되며, 조상에 대한 깊은 존경과 감사를 표현합니다.

 

8. 불승영모(不勝永慕)

  • : "영원히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 설명: 조부 이상의 조상에 대한 깊은 그리움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9. 세서천역(歲序遷易)

  • : "세월이 흘러 바뀌었다"는 의미입니다.
  • 설명: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제사의 배경을 설명합니다.

 

10. 휘일부림(諱日復臨)

  • : "돌아가신 날이 다시 왔다"는 의미입니다.
  • 설명: 제사 날이 돌아왔음을 알리는 문구로 사용됩니다.

 

제사 축문에 사용되는 한자 문구는 조상에 대한 존경과 예의를 담고 있으며, 각각의 뜻을 이해하면 제사의 의미를 더욱 깊이 느낄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축문을 작성하거나 해석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