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난안전구역 설치대상

by 말랑말랑해. 2025. 4. 10.
반응형

피난안전구역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화재나 재난 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위해 설계된 공간입니다. 건축법에 따라 설치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설치 대상과 구조, 설비 기준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난안전구역의 설치대상과 관련된 주요 정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피난안전구역의 정의와 설치 목적

피난안전구역은 건축물 중간층에 설치되는 대피 공간으로, 화재나 재난 발생 시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여 구조를 기다릴 수 있는 공간입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에서 직접적인 피난이 어려운 경우, 피난안전구역은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가법령정보센터 | 제8조(직통계단의 설치기준)

 

국가법령정보센터 | 연계정보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24. 12. 19.] [국토교통부령 제1384호, 2024. 8. 26., 일부개정]

www.law.go.kr

 

2. 피난안전구역 설치대상

  1. 초고층 건축물
    • 층수가 50층 이상 또는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해야 합니다.
  2. 준초고층 건축물
    • 층수가 30층 이상 또는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 건축물 전체 층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 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해야 합니다.

 

3.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 기준

  1. 내부 마감재료
    • 불연재료로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2. 특별피난계단
    •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 구조로 설계됩니다.
  3. 비상용 승강기
    •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됩니다.
  4. 급수 및 조명 설비
    • 식수 공급을 위한 급수전과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 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5. 통신 시설
    • 관리사무소 또는 방재센터와 긴급 연락이 가능한 경보 및 통신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4. 피난안전구역 설치 시 유의사항

  1. 법적 기준 준수
    • 건축법 및 관련 규정에 따라 설계와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2. 면적 기준
    • 건축물 방화구조 규칙에 따라 적정 면적을 확보해야 합니다.
  3. 배연 설비
    • 배연 설비를 설치하여 화재 시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피난안전구역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설치 대상과 기준을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대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이 피난안전구역 설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