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 문서 원하는 페이지만 분할 저장 방법

by 말랑말랑해. 2025. 9. 11.
반응형

한글(HWP)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전체 문서가 아닌 특정 페이지만 따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고서의 일부만 제출하거나, 계약서의 특정 페이지만 별도로 보관하고 싶을 때가 그렇습니다. 이럴 때 한글 프로그램의 블록 저장 기능을 활용하면 원하는 페이지만 손쉽게 분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블록 저장 기능이란

블록 저장은 한글 문서에서 지정한 범위만 새로운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원본 문서의 서식과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필요한 부분만 따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글에서는 연속된 범위만 블록 저장이 가능하므로, 여러 페이지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각각 따로 저장해야 합니다.

 

원하는 페이지만 분할 저장하는 방법

1. 저장할 페이지로 이동

  • 단축키 사용: Alt + G를 눌러 ‘쪽 이동’ 창을 엽니다.
  • 페이지 번호 입력 후 ‘이동’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2. 블록 지정

  • 마우스로 해당 페이지의 첫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드래그하여 블록을 지정합니다.
  • 또는 키보드로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여러 페이지를 연속으로 선택하려면 첫 페이지 시작 부분에서 블록을 시작해 마지막 페이지 끝까지 지정합니다.

3. 블록 저장 실행

  • 블록이 지정된 상태에서 Alt + V를 누르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이 뜹니다.
  • 이때 블록이 지정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블록 저장 모드로 전환됩니다.
  • 저장할 위치와 파일명을 입력한 뒤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저장 파일 확인

  • 저장한 위치로 이동해 파일을 열어보면, 선택한 페이지 내용만 포함된 새로운 한글 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 복사 후 새 문서 저장

블록 저장이 익숙하지 않거나, 비연속적인 페이지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원하는 페이지 내용을 블록 지정 후 Ctrl + C로 복사
  2. 새 한글 문서 열기 (Ctrl + N)
  3. Ctrl + V로 붙여넣기
  4. ‘다른 이름으로 저장’ 메뉴에서 원하는 파일명과 위치 지정 후 저장

이 방법은 여러 페이지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한글 특정 페이지만 분할 저장하는 방법 - 서기랑 이것저것

 

한글 특정 페이지만 분할 저장하는 방법

한글 문서를 보면 특정한 페이지나 부분만을 따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복사하여 새 문서에 붙여넣고 저장을 해도 되긴 하지만 이렇게만 하면 용지의 설

seogilang.tistory.com

 

주의사항

  • 블록 저장은 반드시 연속된 범위만 가능하므로, 떨어진 페이지는 각각 저장해야 합니다.
  • 표나 그림이 페이지를 넘어가는 경우, 저장 범위 지정 시 원하는 부분만 포함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저장 시 원본 문서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작업할 수 있습니다.

 

한글 문서에서 원하는 페이지만 분할 저장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블록 저장 기능을 활용하면 서식과 내용을 그대로 유지한 채 필요한 부분만 추출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높아집니다. 앞으로 보고서, 계약서, 회의록 등에서 필요한 부분만 저장해야 할 때 이 방법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