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BT와 DBT의 차이점

by 말랑말랑해. 2025. 4. 20.
반응형

CBT(인지행동치료)와 DBT(변증법적 행동치료)는 모두 심리 치료의 한 형태이지만, 접근 방식과 치료 목표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두 치료법은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면 개인에게 더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CBT(인지행동치료)란?

CBT는 개인의 사고 패턴을 변화시켜 감정과 행동을 개선하는 치료법입니다. 주로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

  • 인지 재구성: 부정적인 사고를 인식하고 수정하는 과정
  • 행동 수정: 비효율적인 행동 패턴을 변화시키는 기법
  • 문제 해결 중심: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

CBT에서는 개인이 가진 왜곡된 사고를 분석하고, 이를 보다 현실적인 사고로 바꾸는 연습을 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실패할 거야"라는 생각을 "실패할 수도 있지만, 배울 기회가 될 거야"로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인지행동치료의 하위기법

 

인지행동치료의 하위기법

CBT는 매우 다양한 하위치료를 가지고 있다. 아래는 CBT의 주요 하위치료들이다. 노출치료 문제해결치료 심리도식치료 심리치료의 인지행동분석체계 인지과정치료 인지치료 인지행동수정 행동

tsi18708.tistory.com

 

2. DBT(변증법적 행동치료)란?

DBT는 강렬한 감정을 조절하고 대인 관계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춘 치료법입니다. 원래 경계성 인격 장애(BPD)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이후 우울증,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 감정 조절: 강렬한 감정을 관리하는 기술 습득
  • 마음챙김: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감정을 받아들이는 연습
  • 대인관계 기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 학습

DBT에서는 감정을 억제하기보다 수용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예를 들어, "나는 너무 화가 나서 참을 수 없어"라는 생각을 "화가 나는 건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이를 건강하게 표현할 방법을 찾아보자"로 바꾸는 방식입니다.

 

3. CBT와 DBT의 주요 차이점

구분 CBT(인지행동치료) DBT(변증법적 행동치료)
초점 사고 패턴 수정 감정 조절 및 수용
주요 기법 인지 재구성, 행동 수정 마음챙김, 감정 조절, 대인관계 기술
적용 대상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 장애 경계성 인격 장애, PTSD, 감정 조절 문제
치료 방식 문제 해결 중심 감정 수용 중심

 

CBT는 사고 패턴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DBT는 감정을 조절하고 수용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강렬한 감정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는 DBT가 더 적합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수정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CBT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CBT와 DBT 중 어떤 치료법이 더 적합한지는 개인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