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36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 마태복음 12장 34절 마태복음 12장 34절에서 예수님은 "독사의 자식들아, 너희는 악하니 어떻게 선한 말을 할 수 있느냐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구절은 우리의 말이 우리의 마음 상태를 반영한다는 중요한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마음과 말의 관계성경은 마음과 말의 관계를 여러 곳에서 강조하고 있습니다. 마음은 우리의 내면 세계를 나타내며, 말은 그 내면 세계가 외부로 드러나는 표현입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에게 그들의 악한 마음이 그들의 악한 말을 낳는다고 경고하셨습니다.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라듣는 큐티 2020년 3월 12일(조이플 큐티 제1626호)이신구 목사 (성경) 마태복음 12:34-35“독사의 자식들아 너희는 악하니 어떻게.. 2025. 2. 25.
개들과 술객들과 우상 숭배자들은 성 밖에 요한계시록 22장 15절 요한계시록 22장 15절은 성경의 마지막 장에서 중요한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개들과 술객들과 행음자들과 살인자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및 거짓말을 좋아하며 지어내는 자마다 성 밖에 있으리라"라고 말합니다. 이 구절은 천국에 들어갈 수 없는 사람들의 유형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개들과 술객들성경에서 '개들'은 종종 불결하고 부정한 사람들을 상징합니다. 이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따라 사는 사람들입니다. '술객들'은 마술이나 주술을 행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행위입니다.  요한계시록 22:15 개들과 술객들과 행음자들과 살인자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및 거짓말 하는 자의 참뜻  요한계시록 22:15 개들과 술객들과 행음자들과 살인자들과 우상 숭배자.. 2025. 2. 25.
저주가 복으로 사무엘하 16장11-14절 사무엘하 16장 11-14절은 다윗 왕이 그의 아들 압살롬에게 쫓겨 도망치는 중에 겪은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구절은 다윗이 시므이의 저주를 받는 장면을 묘사하며, 다윗의 겸손과 신앙을 보여줍니다.다윗은 압살롬의 반란으로 인해 예루살렘을 떠나 도망치고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베냐민 사람 시므이가 다윗을 만나 저주를 퍼붓고 돌을 던졌습니다. 다윗의 신하 아비새는 시므이를 죽이겠다고 나섰지만, 다윗은 이를 막으며 시므이의 저주를 받아들였습니다. 다윗은 "내 몸에서 난 아들도 내 생명을 해하려 하거든 하물며 이 베냐민 사람이랴? 하나님께서 그에게 명령하신 것이니, 그가 저주하게 버려두라.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라고 말하며.. 2025. 2. 25.
반응형